Survey
2024 주목해야 할
트렌드 탐구
글_ 허승희 자료_ 《트렌드코리아 2024》, 《머니트렌드 2024》

새해가 되면 소비자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경제 전망을 분석한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발표된다.
소비 트렌드를 알아두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 2024 경제 트렌드 중 우리는 어떤 것들에 주목해야 할까?
분초를 다투는 사회
빨리빨리의 나라 ‘대한민국’. 경제 패러다임이 소유에서 경험으로 이동하면서 ‘시간’의 가치는 이전보다 훨씬 커졌다. 시간 효율성이 중요해지자 시간을 조각 내 쓰는 일들이 많아졌다. 기업에서는 반차를 넘어 반반차 개념이 생겨났고 긴 회차의 드라마를 요약한 영상 콘텐츠가 인기를 얻으며, 유명 맛집이나 핫플레이스의 방문 대기 시간을 길에서 버리지 않도록 대기 예약 앱이 등장했다. ‘시성비(時性比)’라는 용어가 생길 만큼 시간의 가치는 중요해졌고 그에 따른 소비 현상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와 연관된 대표적인 소비 현상의 예로 ‘디토(ditto) 소비’가 있다. 어마어마한 상품의 종류와 많은 유통 경로로 어느 한 가지 상품을 구매할 때 들이는 시간이 길고 복잡해졌다. 효율성이 중요해진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는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환경이 되어버린 것이다. 소비자들은 실패의 기회비용을 줄이기 위해 누군가로 하여금 입증된 제품을 구매하게 된다. 시간을 낭비하지 않으려는 새로운 시도들이 늘며 대한민국은 한층 더 촘촘하고 빠른 사회가 되어가는 중이다.
백발의 그레이(grey)+전성기(renaissance), 그레이네상스가 온다
대한민국은 초고령화시대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으로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뉴실버 세대를 대표하는 이들은 오팔 세대, 신노년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기존의 노년층과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 젊음을 지향하고 주체적인 소비를 하는 경제력 있는 계층이라는 점에서다.
이들을 미래의 주 소비층으로 분석한 기업들은 뉴실버 세대를 잡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시니어들의 문화, 예술 등 여가 생활을 돕는 다양한 기업이 등장하고 있다. 탄탄한 재력을 가진 소비층을 잡기 위한 기업들의 움직임이 조금씩 나타나는 가운데 다양한 산업이 실버 세대를 잡기 위해 어떻게 변화할지 더욱 기대된다.
멘털을 잡아라! 멘털 헬스케어
영상 플랫폼에 접속하기만 하면 화면을 가득 채운 심리상담 프로그램들을 마주할 수 있다. 부부, 연인, 가족, 본인 등 거의 모든 관계에 대한 갈등 상담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갈등으로 벌어진 기막힌 사연들은 본인이 직접 겪지 않는다면 자극적이고 즐거운 콘텐츠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심리 상담 프로그램이 계속해서 화제가 되고 주목받는 건 단순 재미를 위한 시청이 아니라 비슷한 상황을 겪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거나,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는 건 아닐까. 실제로 2023년 12월 발표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100만 32명으로 4년 만에 32.8% 증가했다. 정신 건강 및 심리 상담 콘텐츠의 흥행은 통계가 반영된 것으로 보여주었고, 정부와 기업은 이런 점을 파악해 정신 건강 돌봄 지원 등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정신 질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기 위해 정신과를 정신의학과로 명칭을 변경하는 등의 노력도 이어졌다. 심리 치료에 거부감을 느끼던 과거와 달리, 정신 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뿐 아니라 개인의 정신 건강관리를 위한 소비가 늘 것으로 보인다.
2024 소비 트렌드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2023년도 열심히 소비한 당신. 올해에는 어떤 곳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하게 될까. 경제와 가까운 사이인 금융감독원 직원들은 소비 트렌드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들의 소비 가치를 파악해 보자.
-
-
Q1. 2024년 10대 소비 트렌드 중
알고 있거나 들어본 키워드는 몇 개인가요?-
56%
3개 미만
-
19%
없음
-
15%
3개 이상 5개 미만
-
6%
5개 이상 8개 미만
-
4%
8개 이상
-
-
Q2. 2024 소비 트렌드 중
관심 있는 트렌드는?-
45%
육각형 인간
-
34%
디토 소비
-
32%
요즘 남편, 없던 아빠
*다중 선택
-
-
-
-
Q3. 올해 더욱 흥할 것 같은 트렌드는?
-
55%
유튜브, 숏폼 등
영상 콘텐츠
*다중 선택 -
44%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
-
39%
실버세대 문화 사업
(예: 트로트)
-
-
-
Q4. 올해 본인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_____이다.-
67%
건강
-
13%
기타(인간관계, 재미)
*다중 선택
-
12%
시간
-
8%
돈
-
-
-
Q5. 나는 소비할 때 _____가 가장 중요하다.
-
37%
필요성
-
26%
가성비
-
20%
품질
-
17%
기타(흥미, 유행)
-
<트렌드 코리아>가 발표한
2024년 10대 소비트렌드
• 분초사회 : 시간이 돈만큼 혹은 돈보다 중요한 자원으로 변모하면서 ‘시간의 가성비’가 중요해진 시대.
• 호모 프롬프트 : AI를 잘 다루는 것도 인간이 갖춰야 할 능력이 됐다.
• 육각형 인간 : 외모, 학력, 자산, 직업, 성격 등 모든 것이 완벽한 인간.
•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 :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하는 가격들.
• 도파밍 : 도파민(dopamine)을 파밍(farming)한다. 자극을 찾아 헤매는 사람들.
• 요즘 남편, 없던 아빠 : 현대의 아빠들은 가부장적인 남편에서 다정하고 가정적인 아버지가 됐다.
• 스핀오프 프로젝트 : 한 작품의 세계관을 확장하거나 원작을 기반으로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
• 디토 소비 : ‘나도’라는 뜻의 디토(ditto)와 소비가 합쳐진 단어로, 소비자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특정 인물이나 콘텐츠 등을 따라서 인증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뜻한다.
• 리퀴드폴리탄 : 유동적인 삶을 추구하는 ‘플로팅 세대’가 만들어 낸 도시의 유연화.
• 돌봄 경제 : 이제 돌봄은 나이와 건강 상태에 따른 사회적 약자들만이 그 대상이 아니다.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서비스로 진화하며, 돌봄 경제가 중요해지고 있다.